농촌진흥청은 가축 면역력이 떨어지기 쉬운 환절기를 맞아 축사 환경 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농진청은 기온변화와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는 가축 면역력이 약해져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고, 특히 외부인 출입 제한 등 철저한 차단 방역도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은 축종별 관리 요령입니다. <br /> <br />먼저 소는 아침저녁으로 찬 공기에 직접 노출되지 않게 하고 낮에는 충분히 환기하면서 일광욕과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운동장에 머무는 시간을 늘립니다. <br /> <br />우사 내 깔짚을 자주 교체해 축사 바닥을 건조하게 유지해 줍니다. <br /> <br />이른 봄에 태어난 송아지는 저온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보온에 신경 쓰고, 설사병과 호흡기질병 예방 백신을 접종해 예방에 힘씁니다. <br /> <br />돼지는 온도에 민감해 성장 단계별로 적정 사육 온도가 16도(℃)에서 높게는 35도까지 달라 돈사 환경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임신 중인 돼지는 16도~21도, 젖 먹이는 어미돼지는 18~21도, 출생 직후 새끼 돼지는 30~35도, 젖 뗀 돼지는 22~29도가 적절합니다. <br /> <br />육성 초기에는 20~27도가 알맞고, 육성 후기 18~22도, 비육단계 돼지는 16~21도가 적합합니다. <br /> <br />또한, 환기가 잘 안 돼 습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. <br /> <br />낮에는 충분히 환기하고 밤에는 찬바람이 들어오지 않도록 관리해 호흡기 질병을 예방합니다. <br /> <br />구제역 백신접종을 준수하고 차단방역도 철저히 합니다. <br /> <br />닭은 계사 내 방한 설비를 서서히 제거해 낮과 밤의 온도 차가 10도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관리합니다. <br /> <br />어린 병아리는 체온조절 능력이 부족하므로 초기 1주 동안은 32~34도를 유지하고 1주일 간격으로 약 3도씩 온도를 낮춰 20도 전후가 되면 난방을 멈춰도 좋습니다. <br /> <br />또한, 겨울철 최소로 유지하던 환기량을 조금씩 늘립니다. <br /> <br />습도가 과하면 계사 바닥 내 계분과 혼합해 암모니아 가스나 곰팡이를 발생시켜 질병 발생 위험이 커집니다. <br /> <br />반대로 습도가 낮으면 탈수로 인한 폐사 또는 성장 지연, 호흡기 질병을 유발하므로 습도기를 배치해 관리합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겨울 동안 얼었던 땅이 녹으면서 농장 주위 산이나 언덕에서 토사가 흘러내릴 수 있으므로 사전에 점검해 안전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합니다. <br /> <br />축사 내외부에 균열이 생기거나 파손된 곳이 있는지 점검하고, 축사 주변 배수로를 정비해 물 빠짐을 원활하게 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명신 (mscho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5031313193003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